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성실신고 대상자 이신가요? 업종별 매출별 기준 완벽정리

by 물고기남자 2025. 2. 4.

성실신고 대상자 이신가요? 업종별 매출별 기준 완벽정리

 

프리랜서나 개인사업자로서 매출이 늘어나는 건 축하할 일입니다. 하지만 매출이 커질수록 세금 관리는 더욱 복잡해지죠. 오늘은 성실신고확인제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. 특히 여러 사업장을 운영하시는 분들은 더욱 주목해주세요. 정부가 탈세 방지와 세수 확보를 위해 만든 이 제도, 제대로 알아야 낭패 보지 않습니다.


목차

매출 규모와 업종별로 다른 세금 신고, 이렇게 하자

여러 사업장 운영할 때 주의할 점

절세를 위한 실전 팁


The Millinery Shop Date: 1879-86 Edgar Degas (French, 1834–1917)


매출 규모와 업종별로 다른 세금 신고, 이렇게 하자

매출이 큰 순서대로 살펴볼까요?

 

도매 및 소매업을 포함한 1군 업종은 연 매출 15억 원 이상이면 성실신고 대상입니다.

농업, 임업 및 어업, 광업, 부동산매매업도 같은 기준이 적용되죠.

  • 의류 도매업: 월 매출 1.3억 원 → 연 매출 15.6억 원
  • 중고차 매매업: 월 매출 1.5억 원 → 연 매출 18억 원
  • 농산물 도매: 월 매출 1.4억 원 → 연 매출 16.8억 원

제조업이나 숙박 및 음식점업을 포함한 2군 업종은 연 매출 7.5억 원이 성실신고 기준입니다.

전기·가스·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, 운수업, 정보통신업도 이 기준을 따르죠.

  • 가구 제조업: 월 매출 6,500만 원 → 연 매출 7.8억 원
  • 프랜차이즈 음식점: 월 매출 7,000만 원 → 연 매출 8.4억 원
  • 건설업체: 월 매출 8,000만 원 → 연 매출 9.6억 원

부동산임대업과 교육 서비스업을 포함한 3군 업종은 더 낮은 5억 원이 기준입니다.

전문·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,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도 이 기준을 따릅니다.

  • 입시학원: 월 매출 4,500만 원 → 연 매출 5.4억 원
  • 건물 임대업: 월 매출 5,000만 원 → 연 매출 6억 원
  • 병원: 월 매출 6,000만 원 → 연 매출 7.2억 원

연 매출 3억에서 5억 사이라면 기준경비율을 적용하고 간편장부 작성이 필수입니다.

매일의 매출과 지출을 꼼꼼히 기록해야 하죠.

  • 프랜차이즈 카페: 월 매출 3,300만 원 → 연 매출 4억 원
  • 동네 식당: 월 매출 2,900만 원 → 연 매출 3.5억 원
  • 필요 증빙: 직원 급여, 재료 구매, 카드 매출 내역, 인건비, 임차료, 재료비

연 매출 1억에서 3억 사이라면 기준경비율만 적용합니다.

모든 거래 증빙을 꼼꼼히 챙기는 게 중요하죠.

  • 동네 미용실: 월 매출 1,700만 원 → 연 매출 2억 원
  • 온라인 쇼핑몰: 월 매출 2,000만 원 → 연 매출 2.4억 원
  • 필요 증빙: 카드 매출 내역, 월세 영수증, 재료비, 인건비

연 매출 1억 미만이라면 단순경비율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

증빙 관리가 상대적으로 단순하지만, 절세를 위해서는 역시 꼼꼼한 관리가 필요합니다.

  • 프리랜서 디자이너: 월 수입 700만 원 → 연 수입 8,400만 원
  • 1인 컨설팅: 월 수입 800만 원 → 연 수입 9,600만 원
  • 필요 증빙: 카드 매출 증빙, 사무실 임차료, 업무용 기기 구매 영수증

여러 사업장 운영할 때 주의할 점

실제 사례로 살펴보겠습니다. A씨와 B씨가 함께 교육 서비스업 사업장 두 개를 운영하는 상황입니다.

  • A 공동사업장: A씨(지분율 60%), B씨(지분율 40%), 총매출액 45억 원
  • B 공동사업장: A씨(지분율 40%), B씨(지분율 60%), 총매출액 35억 원

이때 두 사업장의 총수입 80억 원이 성실신고 판단 기준이 됩니다. 교육 서비스업의 기준인 50억 원을 훌쩍 넘었으니, 지분율과 관계없이 A씨와 B씨 모두 성실신고 대상자가 되는 거죠. 더 복잡한 경우도 있습니다. 만약 서로 다른 업종의 사업장을 운영한다면, 주업종을 기준으로 환산한 수입 금액을 사용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 도매업(15억 기준)과 제조업(7.5억 기준)을 함께 하는 경우, 매출이 더 큰 업종을 주업종으로 보고 다른 업종의 매출을 환산해 합산합니다.


절세를 위한 실전 팁

  • 매입·매출 관련 증빙 철저히 보관: 세금계산서, 현금영수증, 카드매출전표 등
  • 종업원 급여 지급 명세 관리: 4대보험 신고 내역, 급여 이체 증빙 등
  • 업무용 경비 증빙 확보: 임차료, 관리비, 통신비, 광고선전비 등
  • 사업용 자산 관련 서류 정리: 부동산 임대차계약서, 차량 구매 및 유지비 등

세법이 복잡하긴 하지만 이런 세금 관리는 사업의 기본이자 성장의 발판입니다. 성실신고는 단순히 의무가 아닌 사업의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이기도 하니, 필요하다면 세무사의 도움을 받아 세무 리스크도 줄이고, 본업에 더 집중하시길 바라겠습니다. 내 사업의 든든한 방패가 될 성실신고확인제도, 이제 제대로 준비하시겠죠?